차례와 제사 차이점 명절 차례상, 제사상 차리는 법
음력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 명절날, 조상 생일 등에 간결하게 지내는 제사 원래 다례라고 하여 문자 그대로 다를 행할 때의 모든 예의범절을 뜻하는 말이었으나, 지금은 다례라 하면 옛날 궁중의 다례나 불교의 다례 등을 뜻하는 말이고, 차례는 명절에 지내는 속절제를 가리킴 대개 정월 초하룻날과 추석에만 지내는 것이 관례가 됨 차례상과 제사상의 차이 보편적인 제사의 종류는 기제, 묘제, 차례가 있습니다. 기제는 조상이 목숨을 잃은 기일에 모시는 제사이며, 묘제는 조상의 산소에서 지내는 제사입니다.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상은 산 사람의 상차림과 반대로 수저는 중앙에 놓고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놓습니다. 제사상에도 알아두면 좋을 사자성어 알려드리겠습니다. 남좌여우 남자 조상은 서쪽, 여자 조상은 동쪽 반서갱동 남자조상의 신위, 밥, 국, 술잔은 왼쪽, 여자조상은 오른쪽 합 설 밥, 국, 술잔은 따로 놓고 나머지 제수는 공통적으로 하며, 조상의 제사는 배우자가 있을 경우 함께 모심 어동육서 고기는 서쪽, 생선은 동쪽 생동숙서 날것은 동쪽, 익힌 것은 서쪽 조율이시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순서 좌포우혜 포는 서쪽, 젓갈은 동쪽 글을 읽으시다.
보시면 차례상과 제사상의 차리는 방식은 비슷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남자의 큰절 방법
1. 공수남자는 왼손이 위로가게 포개 잡는 것하고 어른을 향해 선다. 2. 공수한 손을 눈높이까지 올렸다가 내리면서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을 바닥에 짚는다. 3.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꿇어 엉덩이를 깊이 내려앉는다. 4.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공수한 손등 가까이에 댄다. 이럴때 엉덩이가 들리면 안 됩니다. 5. 공손함이 드러나도록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펴고, 오른쪽 무릎을 세워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오른쪽 무릎 위를 짚고 일어난다.
6. 공수한 손을 눈높이까지 올렸다가 내린 후 묵례합니다.
명절 차례상 차리는 법
명절 차례상 차리는 법은 크게 5열로 나누는데요. 그 외에도 공식처럼 알아두어야 할 사자 성어도 있습니다.
차례상은 위에서 언급했듯 지방이나 가정의 전통에 따라 순서나 위치 등이 다소 차이가 있으며, 무엇보다. 조상이 생전에 즐기던 음식을 정성스레 준비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차리면 됩니다. 또한 갈치, 삼치 등 치자가 들어간 생선과 고춧가루와 마늘양념을 하지 않고, 붉은팥은 안 쓰고 흰고 물로 씁니다.
위패, 신위, 지방 차이
제사, 차례상에 증가하는 것 중, 고인과 조상을 대신하는 상품이 있습니다. 바로 위패, 신위, 지방인데요, 지금부터 제대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위패 위패란 죽은 사람의 혼이 깃들어있는 나무 패를 뜻하며, 차례, 제사상에 올려 죽은 사람의 혼을 대신한다는 상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패란 나무로 만든 신주라는 뜻을 지니고도 있습니다. 신위 신위란 조상, 고인이 의지할 자리를 뜻하며, 죽은 사람의 영혼이 깃들은 사진이나 지방, 위패 등을 뜻합니다.
지방 지방이란, 신주나 위패가 없는 경우, 일정 표준의 한지에 조상, 고인의 인적사항을 적어 사용하는 1회용 신위를 뜻합니다. 종이로 만든 신주라는 뜻도 지니고 잇습니다.
설날 차례 표준 상차림
그렇다면 이런 차례상에는 어떤 것들이 올라갈까요? 지금부터 설날 차례 표준 상차림에 관하여 조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사상은 제일 안쪽부터 1열이며, 총 5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열에는 반서갱동의 원칙에 따라,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위치하면 되고, 수저는 그 아래 두거나, 가운데 두시면 됩니다. 2열은 주로 육전, 어전, 두부전 등 각종 전들이 증가하는 위치인데요, 여기서는 어동육서의 원칙에 맞게, 생선은 동쪽, 육류는 서쪽에 두시면 됩니다.
그리고, 생선은 동두미서의 원칙에 따라,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두시면 됩니다. 3열은 육탕과 두부탕, 어탕 등 탕종류가 증가하는 위치인데요, 여기서도 어동육서의 원칙에 맞게, 동쪽에는 어탕, 서쪽에는 육탕을 두고, 가운데 두부탕을 두시면 됩니다.
제사와 차례 차이
명절을 앞두고 차례 준비에 많은 음식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래 차례 때는 술과 과일, 포주과포에 시절 음식을 차려 술도 한 번만 올리는 간소한 약식 제사를 지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 명문가 종갓집에서도 간소한 차례 상차림을 올렸다고 합니다. 상차림뿐 아니라 지내는 시간에도 제사와 차례는 차이가 있습니다. 제사는 원래 자시, 밤 11시새벽 1시에 지내고, 차례는 주로 명절날 아침에 지냅니다.
차례 준비로 힘들 때면 아 유교 때문에, 주자 때문에라는 탄식이 나오는 분들 많으실 텐데. 주자가례 제례와 연관된 예서에 보시면 제사상은 본질적으로 소박하고 간소했으나, 조상 제사를 통해 가문의 위세를 과시하려는 경향으로 제사 음식과 제사 절차가 점점 화려하고 복잡해졌다고 합니다. 보통 제사는 윗대로 올라가 2대조나 3대조까지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상은 산 사람의 상차림과 반대로 수저는 중앙에 놓고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놓습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
남자의 큰절 방법
1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세요.
명절 차례상 차리는 법
명절 차례상 차리는 법은 크게 5열로 나누는데요.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