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퇴직소득세 계산기 계산 방법과 국세청 양식

2020년 퇴직소득세 계산기 계산 방법과 국세청 양식

퇴직소득은 다른 말로 퇴직금이라고도 부르며 근로자가 직장을 그만두었을 때 받는 급여로 14일 이내 지급해야 합니다. 회사는 근로자에게 퇴직금 지급시 퇴직소득세를 공제하고 지급해야 하는데, 퇴직소득은 근로자가 입사한 이후 부터 퇴직할 때 까지 형성된 소득으로 근로소득과는 다른 방법으로 과세하게 됩니다. 퇴직소득세를 산출할 때는 퇴직금을 근무한 기간으로 나누어 1년치 소득으로 환산한 뒤 환산한 소득금액에 관하여 종합소득세율을 적용하여 부과합니다.

이 때 근무한 기간인 근속연수에 따라 일정금액을 공제한 후 퇴직소득세를 산출하기 때문에 근무한 기간이 길어질수록 퇴직소득세에 대한 부담은 낮아집니다.


imgCaption0
과세표준금액 계산

과세표준금액 계산

과세표준 기준금액은, 2에서 계산한 환산급여에서 3에서 계산한 환산급여공제액을 빼준 금액으로 기준을 잡으면 됩니다. 2 환산급여 4억 4,030만원 3 환산급여공제 2억 80만원 계산을 해보면, 과세표준 금액은 2억 3,950만원으로, 과세표준 1.5억원 3억원 이하의 세율 38구간에 해당하는 것을 알 있습니다. 과세표준 구간 계산 환산급여 환산급여공제 4억 4,030만원 2억 80만원 2억 3,950만원 산식에 따라 과세표준이 되는 금액은 2억 3,950만원이 되고, 다음으로 세율 38 구간을 적용하여 환산산출세액을 계산해보시면 됩니다.

환산 산출세액 계산

환산산출세액 과세표준 x 세율 2억 3,950만원 x 38 9,101만원 지난번 계산한 20년 근속 1억 퇴직금을 수령한 일반 근로자의 경우 과세표준이 1,120만원 이고 세율이 6 구간이라서 환산 산출세액이 67만원 나왔던 사례와 비교해보면, 130배에 가까운 환산 산출세액이 나왔음을 비교해 볼 있습니다. 일반 직장 근로자와 임원 퇴직금은 각각 1억과 10억으로 총 10배 차이가 났지만, 환산산출세액은 67만원과 9,100만원 총 130배 차이남을 알 있습니다.

산출세액 환산산출세액 divide12 x 근속연수 9,101만원divide12 x 26 1억 9,718만원 즉 26년 근속한 임원이 퇴직금 10억 수령시 퇴직소득세는 총 1억 9,718만원이 나오게 됩니다.

퇴직소득세율

퇴직소득세율의 과세표준은 기본세율로 측정되며 세액의 경우 연분연승법을 적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만 이야기하면 도대체 기본세율은 얼마며 퇴직소득세율이 왜 필요한지에 관하여 알기가 힘들잖아요. 그래서 퇴직소득세율을 적용해 퇴직소득세에 대한 계산구조를 예시로 들고와보았습니다 처음 퇴직소득을 받게 되면 금액에 대한 소득공제를 받습니다. 이후 퇴직소득금액에 퇴직소득 공제금을 빼주신 후 12를 곱하고 근속연수를 나누어 환산급여를 공제받게 됩니다.

환산 산출세액 계산

환산산출세액 과세표준 x 세율 1억 8,518만원 x 38 7,036만원 지난번 계산한 20년 근속 1억 퇴직금을 수령한 일반 근로자의 경우 과세표준이 1,120만원 이고 세율이 6 구간이라서 환산 산출세액이 67만원 나왔던 사례와 비교해보면, 100배에 가까운 환산 산출세액이 나왔음을 비교해 볼 있습니다. 일반 직장 근로자와 임원 퇴직금은 1억과 7억 총 7배 차이가 났지만, 환산산출세액은 67만원과 7,000만원 총 100배 차이남을 알 있습니다.

이번 세제 개편으로 일반 근로자의 세금 계산 기준이 완화되었음이 체감되는 부분입니다.

2020년 퇴직소득세 계산기 사용방법

프로그램 사용시 유의사항 1. 세액 자동 계산 프로그램을 열때 반드시 매크로 포함 을 선택하여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매크로 포함 선택창이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에서 보안 수준을 보통으로 선택 엑셀 2007에서는 Office단추왼쪽 상단 MsOffice이미지엑셀 옵션보안 센터보안 센터 설정매크로 설정에서 모든 매크로 포함으로 선택 2. 입사일, 퇴사일, 마지막 중간 정산일 등 날짜 입력 시 반드시 yyyymmdd형식으로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퇴직소득세 계산방법

퇴직소득세는 근속연수와 종합소득 기본세율에 따라 달라집니다. 계산 절차를 대략적으로 살펴보시면 다음과 같습니다 근속연수 공제 차등공제 종합소득세율 위와 같은 방식으로 퇴직소득세가 계산됩니다. 하지만 실제 계산은 명확한 규정과 세법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복잡할 수 있습니다.

퇴직소득세 계산기

국세청 홈택스에서는 퇴직소득세 모의계산이 가능합니다. 아래는 모의계산 절차입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퇴직소득세를 모의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제 세액을 미리 예상하실 수 있습니다.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퇴직소득세 계산기를 활용하여 더 분명한 계산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홈택스에 접속하여 세금모의계산을 선택합니다. 해당 연도의 퇴직소득 세액을 클릭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과세표준금액 계산

과세표준 기준금액은, 2에서 계산한 환산급여에서 3에서 계산한 환산급여공제액을 빼준 금액으로 기준을 잡으면 됩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환산 산출세액 계산

환산산출세액 과세표준 x 세율 2억 3,950만원 x 38 9,101만원 지난번 계산한 20년 근속 1억 퇴직금을 수령한 일반 근로자의 경우 과세표준이 1,120만원 이고 세율이 6 구간이라서 환산 산출세액이 67만원 나왔던 사례와 비교해보면, 130배에 가까운 환산 산출세액이 나왔음을 비교해 볼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퇴직소득세율

퇴직소득세율의 과세표준은 기본세율로 측정되며 세액의 경우 연분연승법을 적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