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소득세 세율 계산방법( 2023년)

퇴직소득세 세율 계산방법(+ 2023년)

기록된 정보들이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전달될 수 있길 바라겠습니다. 엑셀excel 작업으로 퇴직금을 계산 하는경우가 생길 수 있죠. 퇴직금 계산은 퇴직금을 수령하는 사람, 퇴직금을 지급하는 담당자로 구분해 볼 수 있었으나 퇴직금을 수령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퇴직금이 재대로 계산되었는지, 그리고 퇴직금을 지급하기 위해 퇴직금을 계산해야 하는 담당자 입장에서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정확하고 재대로 된 퇴직금을 계산해야 합니다.

이번 내용에서는 퇴직금 계산 방법과 퇴직금을 계산 하는 서식을 쓰고 퇴직금을 계산 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 값을 입력하면 퇴직금을 계산하기 위한 정보들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최종 퇴직금을 계산 할 수 있는 수식을 작성해 보고자 합니다.


퇴직 소득세 계산 방법.
퇴직 소득세 계산 방법.

퇴직 소득세 계산 방법.

퇴직금 역시 소득의 하나로 볼 수 있기에 퇴직금에 대한 세금이 발생되어 이를 퇴직 소득세라고 합니다. 퇴직 소득세를 계산 하기 위해서는 세율과 공제 되는 금액이 발생되는데 퇴직금 총액에서 근속기간에 따라 공제 되는 금액으로 근속기간에 따라 공제 되는 금액을 공제 후에 계산하는 금액을 환산급여라고 하고 환산급여를 또 다시 환산급여 구간별 공제액에 따라 그 공제액이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최종 퇴직금은 환산급여에서 공제되는 금액까지 공제 한 후 계산한 금액을 종합 소득세 세율표에 따라 퇴직 소득세를 측정하고 퇴직 소득세까지 공제한 금액을 최종 지급해야할 퇴직금으로 계산 할 수 있습니다.

과세표준 대입
과세표준 대입

과세표준 대입

환산 급여 공제를 적용한 값에 과세표준을 대입해 환산 산출 세액을 구해 줍니다. 과세표준 1,200만 원 이하는 세율 6, 과세표준 4,600만 원 이하는 세율 15에 누진공제액 108만 원, 8,800만 원 이하는 24에 522만 원, 1.5억 원 이하는 35에 1,490만 원, 3억 원 이하는 38에 1,940만 원, 5억 원 이하는 40에 2,540만 원, 5억 원 초과는 42에 3,540만 원입니다.

퇴직소득세 과세표준 개정 내용
퇴직소득세 과세표준 개정 내용

퇴직소득세 과세표준 개정 내용

2023년 대대적인 세제개편으로 퇴직소득세를 비롯한 종합소득세 과세표준과 소득세율이 변경되었는데요, 퇴직소득세 계산 시 과세표준이란 무엇인지, 개편된 내용은 어떤지 살펴보겠습니다. 1. 퇴직소득세 과세표준이란? 최종 퇴직소득세율 산출을 위해 소득세율을 적용시키는 금액으로 퇴직급여액에서 위에서 살펴본 퇴직소득 공제, 환산급여공제를 하고 난 후의 금액을 퇴직소득세 과세표준이라고 합니다. 2. 개정 퇴직소득세 과세표준 및 세율 퇴직소득세 과세표준에 따라 이에 맞는 세율을 곱하여 퇴직소득세가 산출되는데요, 과세표준과 적용 세율은 아래와 같이 개편되었습니다.

환산급여 계산

장기근속 혜택으로 받은 근속연수 공제금액 만큼 차감한 금액을 기준으로 퇴직소득세를 계산하므로, 퇴직금에서 근속연수공제 금액을 뺀 금액을 먼저 계산해야 합니다. 이를 환산급여 라고 말합니다. 퇴직금 전부에 관하여 세금을 메기는 것이 아니고, 퇴직금 중 재직기간에 비례하여 일부 금액을 제외하고, 퇴직금 중 일부 의 금액에 대해서만 세금을 부과하기 때문입니다.

3 퇴직금 계산 예제.

이렇게 계산해서 나온 퇴직금 5,690,390원을 근속기간에 따른 공제액과 환산 급여 구간별 공제액 그리고 과세 표준 구간별 세율을 적용한 퇴직소득세까지 적용해서 계산해 보시면 근속 기간은 2년으로 근속연수 5년 이하 구간에 해당하는 공제액 30만원 2년 60만원, 환산 급여는 5,690,390 600,000 5,090,390원으로 해당 금액은 환산급여 구간 800만원 이하 구간에 해당하기 때문에 환산급여의 100 금액을 공제 하여 5,090,390원을 공제 하게 됩니다.

따라서 최종 퇴직금 5,690,390 600,000 5,090,390 0원이기 때문에 퇴직 소득세역시 과세 표준에 어떠한 구간을 0으로 곱하더라도 0원이기 때문에 실제 차감해야할 퇴직 소득세는 0원이 됩니다.

퇴직소득세 계산기

퇴직소득세는 과세표준, 근속연수, 세율 등을 종합적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퇴직소득세 산정방식이 복잡하기 때문에 국세청에서 쉽게 퇴직소득세를 산정할 수 있게 해 줍니다. 국세청 홈택스 메인 화면에서 모의계산 메뉴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시뮬레이션 계산 메뉴에서 퇴직소득세 금액 계산기를 선택합니다. 퇴직소득세 계산기는 과세표준액이 연도별로 다르기 때문에 연도별로 퇴직소득세 산정기준을 선택합니다. 퇴직소득세는 소득자의 인적사항과 퇴직급여 현황, 근속연수 등을 입력하면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퇴직소득세 산정방식은 근속연수에 따라 공제금액이 달라집니다. 2023년 퇴직금에 대한 퇴직소득세를 산정할 때 근속연수에 따라 공제한 금액이 상향 조정됐습니다. 지금까지 퇴직소득세와 세율을 계산하는 방법에 관하여 알아봤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퇴직 소득세 계산 방법.

퇴직금 역시 소득의 하나로 볼 수 있기에 퇴직금에 대한 세금이 발생되어 이를 퇴직 소득세라고 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과세표준 대입

환산 급여 공제를 적용한 값에 과세표준을 대입해 환산 산출 세액을 구해 줍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퇴직소득세 과세표준 개정

2023년 대대적인 세제개편으로 퇴직소득세를 비롯한 종합소득세 과세표준과 소득세율이 변경되었는데요, 퇴직소득세 계산 시 과세표준이란 무엇인지, 개편된 내용은 어떤지 살펴보겠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