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제사 지내는 방법 그리고 제사 음식과 지방 쓰는 방법

차례 제사 지내는 방법 그리고 제사 음식과 지방 쓰는 방법

오는 1월 22일일은 음력 정월 초하룻날로 우리나라 고유의 명절 설날입니다. 설은 정초, 원일, 원단, 정조, 세수, 세초, 세시, 연두, 연시, 연수 등으로도 표현됩니다. 기록에 의하면 신라 때 이미 설이라는 말이 널리 쓰이고, 고려시대에는 9대 명절로 하나로, 조선시대에는 4대 명절의 하나로 지금까지 전해 내려옵니다. 설날의 세시풍속으로는 차례, 세배, 설빔, 덕담, 문안비, 설 그림, 복요리 걸기, 야광 귀 쫓기, 청 참, 윷놀이, 널뛰기, 머리카락 태우기 등이 있습니다.

설이라는 말의 유래는 여러 의견이 있습니다. 삼간다는 뜻으로서, 새 해의 첫날에 일 년 동안 아무 탈 없이 지내게 해 달라는 바람에서 연유했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섦다의 뜻에서 유래된 뜻으로, 해가 지남에 따라 점차 늙어 가는 처지를 서글퍼하는 뜻에서 생겼을 것이라는 견해가 있습니다.


제사 지내는 시간 및 제사 지내는 순서
제사 지내는 시간 및 제사 지내는 순서


제사 지내는 시간 및 제사 지내는 순서

제사 지내는 시간 전통적으로 조상이 목숨을 잃은 날의 첫새벽0시 직후에 지냈으나 오늘날은 가족들의 참석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기일의 저녁 시간에 지내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차례의 경우 명절의 오전 시간에 지내는 것이 보통입니다. 제사 지내는 순서 제사의 주인이 되는 사람을 라고 하며 제주를 돕는 사람을 라고 합니다. 제사에는 술을 3번 올리는데 하나하나씩 이라고 합니다. 강신 제주가 향을 피우고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을 하고 신주를 모실 때에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합니다.

참신 일동이 모두 두 번 절을 합니다.

제사 지내 음식 및 제사 지내는 방법
제사 지내 음식 및 제사 지내는 방법

제사 지내 음식 및 제사 지내는 방법

제사 음식 젯메 흰쌀밥을 주발에 소복하게 담는다. 갱 아니면 메탕 쇠고기, 무, 다시마를 넣고 맑게 끓여서 간장으로 간을 하여 갱기나 탕기에 담는다. 삼탕 육탁은 쇠고기와 무, 몽탕은 닭고기, 어탕은 북어와 다시마, 두부를 재료로 탕을 끓여 건지만 탕기에 담는다. 삼적 육적은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두툼하고 크게 조각내어 양념을 하고 꼬치에 꿰어 석쇠에 굽고 봉적은 닭의 목과 발을 잘라 내고 배를 갈라서 펴고 찌거나 기름에 지지고, 어적은 숭어와 조기 및 도미를 통째로 소금에 절여 굽는다.

삼적은 적틀에 한데 담아 제일 아래 어적을 놓고 그 위에 육적, 가장 위에는 봉적을 담는다.

기제사는 전통적으로는 조상이 목숨을 잃은 날의 첫 새벽새벽 0시 직후에 지냈다. 그러나 오늘날은 이렇게 되면 가족들의 참석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어, 다소 기일의 저녁 시간에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차례의 경우 명절의 오전 시간에 지내는 것이 보통입니다. 제사의 주인이 되는 사람을 제주라고 하고, 제주를 돕는 사람을 집사라고 합니다. 제사에서는 술을 3번 올리는데, 하나하나씩 초헌, 아헌, 종헌이라고 합니다. 다음 영상은 초헌이라는 절차를 보여줍니다.

영상 후에는 대체적인 제사의 절차를 나열했다. 1. 강신 제주가 향을 피운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합니다. 신주를 모실 때에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합니다. 2. 참신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합니다. 3. 초헌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부어줍니다. 제주는 잔을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집사에게 줍니다. 집사가 술을 올리고, 젓가락을 음식 위에 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