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 개념 정리(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 개념 정리(주휴수당 계산법)

최저시급은 임금의 최저수준을 보장하기위해 만들어진 정책으로 이를 통해 국민의 경제의 발전 위한 목적이 있습니다. 작년의 최저시급은 9,160원으로 전 년도 대비 5.1의 인상율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3년 확정된 최저시급과 봉급 실수령액을 간편하게 계산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최저시급에 대한 중요 질의응답을 작성했으니 보시고 도움이 되셨으며 합니다. 2023년 최저시급이 결정되었습니다. 2023년 시간 당 최저시급은 9,620원입니다.

2022년에 9,160원 이였으니 5의 인상률을 보여주었습니다. 참고로 2021년 최저시급은 8,720원으로 1.5의 인상률을 보여 주었습니다. 작년과 이번 해에 최저시급 인상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최저시급은 1인 이상의 근로자가 일하는 곳이면 모두 적용이 됩니다.


2024 최저시급 2023 비교
2024 최저시급 2023 비교

2024 최저시급 2023 비교

지금까지 최저시급 상승률과 비교했을 때, 매우 소폭 상승하였고 물가상승률과 비교했을 때에도 그에 미치지 못하여 아쉽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일급과 월급으로 2023년과 2024년 최저시급 계산법을 비교해보시면 다음과 같습니다. 2024년 최저시급은 9,86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2023년 대비 240원, 2.5 인상되었습니다.

최저시급 중요 질의응답
최저시급 중요 질의응답

최저시급 중요 질의응답

최저임금은 1인 이상의 모든 사업장에서 적용이 됩니다. 하지만 가사사용인이나 선원을 활용하는 선박 소유자에게는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이를 제외한 모든 알바와 청소년 근로자나 외국인 근로자 모두 적용이 됩니다.

다만 1년 이상의 기간으로 근로거래를 맺어 수습으로 직장에 들어 왔다면 최저시급보다. 10%의 감액한 금액으로 3개월동안 지급받게 됩니다. 그렇기에 근로계약서를 작성할 때 자신이 어떠한 근로계약인지 제대로 안 후에 월급을 계산해 보시길 바랍니다.

만약 수습 기간이라면 3개월 동안은 201만 원에서 10 감액된 180만 원 정도를 받을 것 입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
주휴수당 지급 조건

주휴수당 지급 조건

주휴수당의 적용 대상은 상시근로자 혹은 단기간 근로자아르바이트생에 연관 없이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모든 근로자입니다. 또한 근로계약서상 명시된 소정근로일 동안 모두 개근해야 하며, 지각, 조퇴했어도 모두 출근했다면 개근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 주휴일이 지난 다음 주에도 출근이 예정된 근로자만 해당이 됩니다. 퇴사 처리 예정인 사람에게는 해당주의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소정근로일 근로자가 일하기로 정한 날 단, 봉급 근로자의 경우 월급에 이미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최저시급에 위배되는 월급을 받는지만 스스로 판단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하자

저희들이 손으로 계산한 값과 실제 계산값이 동일한지 확인해 볼 시간입니다. 인터넷 포털에서 주휴수당 계산기 혹은 임금 계산기라고 검색하면 손쉽게 계산을 해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직접 계산해 보시면, 실제 법적으로 지급되어야 하는 총노동에 대한 임금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고용주는 주휴수당까지 포함된 계산을 통해 법의 문제가 없도록 현 제도에 맞는 임금을 지급해 줄 수 있고 노동자는 현재 법 제도로 지정된 최저시급과 주휴수당 제도에 맞는 실질임금 즉, 나의 노동에 대한 권리를 올정의롭게 지불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고용난에 허덕이는 고용주

근로자들은 당연히 본인의 근로 시간보다. 더 높은 시급을 받기를 원합니다. 이에 주휴수당까지 추가 지급받을 수 있는 곳을 선호하게 되는데요, 최근에는 주휴수당 조건인 15시간 근무가 보장되지 않으면 근무를 거절하는 사례도 많아졌습니다.

이 같은 이유로 인건비를 조금이라도 줄이고 싶어 쪼개기 고용하는 자영업자는 인력난에 허덕이게 되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을 계산하는 방법이 조금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사실상 그리 어려운 개념은 아닙니다. 아래의 계산식을 통해 주휴수당 계산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해 보시고 실제 계산기와 비교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아르바이트생 A씨가 2023년 최저시급인 9,620원을 받으며, 일주일 동안 하루에 5시간씩 5일을 일했다면 주휴수당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주일 동안 총근로시간은 5시간 5일 25시간 주휴수당 25시간40시간 8시간 최저시급 9,620원 48,100원 따라서 A씨는 일주일 동안 일한 주급으로 최저시급 9,620원25시간 240,500원 과 추가 주휴수당 48,100원을 지급받게 됩니다.

2023년 최저시급 글을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2023년 최저시급 확정액과 봉급 계산에 관련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물가상승 시대이므로 모든 물가가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이와 중에 내 월급만 오르지 않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픕니다. 최저시급은 5 올랐는데 필수 사용제의 가격은 더 올랐기 때문입니다. 어려운 시기이므로 성실히 노력하여 자신의 최저시급을 높여보는게 어떨까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2024 최저시급 2023

지금까지 최저시급 상승률과 비교했을 때, 매우 소폭 상승하였고 물가상승률과 비교했을 때에도 그에 미치지 못하여 아쉽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최저시급 중요 질의응답

최저임금은 1인 이상의 모든 사업장에서 적용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

주휴수당의 적용 대상은 상시근로자 혹은 단기간 근로자아르바이트생에 연관 없이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모든 근로자입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