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바이 면허 종류 및 획득 비용

오토바이 면허 종류 및 획득 비용

오토바이 면허는 크게 2가지로 원동기 면허, 소형 2종 면허입니다. 각기 운행할 수 있는 오토바이 cc 가 다르기 때문에 용도에 맞게 취득을 해야 합니다. 원동기 면허는 운전면허증으로 대체가 가능하지만 소형 2종 면허는 다른 취득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기능시험을 치를 때 원동기는 시티 100 수준의 오토바이를 사용하고, 소형 2종 면허의 경우는 미라주 수준의 오토바이를 운전하게 됩니다. 운전면허 2종 보통을 갖고 있을 시는 오토 스쿠터만 운행이 가능하고 기어 변속을 요하는 오토바이는 운행이 불가합니다.


2종 보통 운전 가능 차량 특수자동차 기준
2종 보통 운전 가능 차량 특수자동차 기준

2종 보통 운전 가능 차량 특수자동차 기준

2종 보통 운전 면허로 또 가능한 것이 있는데요. 바로 총중량 3.5톤 이하의 특수자동차구난차등 제외 입니다. 특수 차는 무엇일까요? 도로교통법 제2조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도로교통법 제2조정의 특수자동차 다른 자동차를 견인하거나 구난작업 아니면 특수한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생성된 자동차로서 승용자동차승합자동차 아니면 화물자동차가 아닌 자동차

견인하거나 구난작업 아니면 특수한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자동차를 특수자동차라고 하는데요. 사다리차, 크레인차, 청소차, 소방차 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2종 보통 운전 가능 차량에 구난차는 포함되지 않으며, 구난차는 1종 특수면허에서 구난차 면허를 따로 취득을 하셔야 운전이 가능합니다.

바이크만 탈 수 있는 면허
바이크만 탈 수 있는 면허

바이크만 탈 수 있는 면허

바이크만 탈 수 있는 면허는 원동기 장치 자전거 면허와 2종 소형면허가 있습니다. 원동기장치자전거 면허로는 125cc이하의 매뉴얼, 오토 바이크를 모두 운행할 수 있습니다. 2종 소형 면허로는 원동기장치자전거 면허로 운행할 수 있는 125cc이하의 모든 바이크를 포함하고, 추가로 125cc를 초과하는 매뉴얼, 오토 바이크를 모두 운행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2종 소형 면허는, 우리 나라에 존재하는 모든 바이크를 다.

운행할 수 있는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모두가 2종소형 면허를 취득하면 되지않을까요? 물론 그렇게 하면 너무 좋겠지만, 2종 소형 면허에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2종 소형 면허의 단점은 면허 취득이 굉장히 어려운 것입니다.

2종 보통 운전 가능 차량 승합차 면허 기준
2종 보통 운전 가능 차량 승합차 면허 기준

2종 보통 운전 가능 차량 승합차 면허 기준

2종 보통으로 승합차도 운전 가능합니다. 위에서 승용자동차가 10인 이하를 운송하기에 접합하게 생성된 자동차라고 했는데요. 그렇다면 승합자동차의 정의는 어떠한 방식으로 될까요? 자동차 관리법 제3조에 의하면 승합차는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자동차 관리법 제3조자동차의 종류승합자동차 11인 이상을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생성된 자동차.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차는 승차인원과 독립적으로 이를 승합자동차로 봅니다.

가. 내부의 특수한 설비로 인하여 승차인원이 10인 이하로 된 자동차나.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경형자동차로서 승차인원이 10인 이하인 전방조종자동차승합차는 11인 이상을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생성된 자동차라고 정의하고 있지만, 2종 다소 10인 이하의 승합자동차까지만 운전이 가능합니다.

차량바이크를 탈 수 있는 면허

표를 보시면 알 수 있듯이, 1종 보통, 2종 보통, 2종 오토 면허 모두 125cc이하의 바이크를 운행할 수 있다는 점과 만 18세 이상이 되어야 취득이 가능하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습니다.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1종 보통과 2종 다소 모두 수동면허시험이기 때문에 매뉴얼 바이크와 오토 바이크 모두를 운행할 수 있는 반면, 2종 오토 면허는 오직 오토 바이크만 운행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자동변속기 조건 1종 보통면허에까지 확대

자동변속기가 현재는 모든 차종에 적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11인승 15인승 승합차, 4톤 12톤 화물차를 운전을 하려면 수동변속기 조작 방법을 따로 익혀서 1종 보통면허를 취득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1종 보통면허에 자동변속기 적용이 된다면 따로 취득해야 하는 불편함이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올 하반기까지 도로교통법령 개정을 완료할 것이고 시험용으로 장비를 교체하는 등 2024년 하반기까지 도입할 계획이라 하네요. 1종 보통과 2종 보통의 차이점? 차종 범위 운전할 수 있는 차량의 범위가 다릅니다.

시험 응시비용

모든 시험 합격 후 면허 발급 시 수수료 8000원이 추가 발생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2종 보통 운전 가능 차량 특수자동차

2종 보통 운전 면허로 또 가능한 것이 있는데요.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바이크만 탈 수 있는 면허

바이크만 탈 수 있는 면허는 원동기 장치 자전거 면허와 2종 소형면허가 있습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종 보통 운전 가능 차량 승합차 면허

2종 보통으로 승합차도 운전 가능합니다.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