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 발생 기준 및 연차 수당 계산 , 아동휴직 후 연차

연차 발생 기준 및 연차 수당 계산 , 아동휴직 후 연차

직장인이라면 회사생활에서 가장 필요한 것이 연차휴가입니다. 학생과 같이 방학이 있는 것도 아니고, 일 년에 사용할 수 있는 연차가 제한적이어서 알차게 휴가를 사용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최근에서는 회사마다. 연차 사용을 권장하고 있어 1년의 연차 계획을 미리 세우기도 합니다. 또한, 휴가사용 촉진제도가 있어서 휴가 사용기간이 만료되기 6개월 전에 근로자에게 사용하지 않는 휴가를 사용할 것을 요청하는데 근로자가 휴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회사의 금정보상의무가 면제되기 때문에 꼭 남은휴가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연차가 발생하는 기준과 연차 수당 계산방법을 알고 있다면, 모르고 사용하지 못하는 연차가 발생하지 않을 것입니다.


연차수당 지급기준
연차수당 지급기준

연차수당 지급기준

연차 미사용분에 대해 보상을 받을 수 있는데요. 우리는 이것을 연차수당이라고 얘기하죠. 그런데요 연차수당을 받는 곳도 있고 받지 않는 곳도 있습니다. 이렇다는 얘기는 지급기준이 뭔가 명확하지 않다는 얘기겠죠. 연차휴가 사용 촉진 제도 저도 다니던 회사에는 연차휴가를 격려하는 제도를 시행했습니다. 회사에서는 휴가를 못쓰게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남은 휴가를 언제쯤 쓸껀지 작성해서 제출했는데요. 이렇게 소멸할 월차에 대해 소명을 하면 회사측에서는 내가 못쓰게 하지 않았습니다.

뭐 이렇게 답변할 수 있겠죠. 근로 법규에 의하면 사업주가 서면으로 유급휴가 사용을 촉진했을 경우 연차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없습니다. 서면으로 남기지 않았을 경우 지급의무가 발생합니다.

연차 발생기준
연차 발생기준

연차 발생기준

근로기준법 제 60조 1항에서는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합니다. 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즉 기업 입사일을 기준으로 만 1년이 될 시에는 회사에서 제공하는 유급휴가 15일을 받을 수 있었으나 그것이 바로 연차입니다. 1년간 80퍼센트라는 연차기준이 좀 에매할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근로기준법에는 80퍼센트의 충족조건을 구분하여 명시해두었습니다. 업무상의 부상 혹은 질병으로 인한 휴업, 임신중의 여성이 휴가로 인한 휴업, 유아휴직으로 인한 휴업은 이곳에서 말하는 80퍼센트에 포함시켜 근로자의 근무에 포함시켜주도록 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 60조국가법령정보센터 근로자는 휴가를 마음껏 신청하고 쓸 수 있는 권리가 있는데요. 하지만 사회 통념상 통상적으로 연차신청시기는 휴가를 사용하기 3일에서 7일 전에는 회사의 승인을 받고 권리를 누리는 것이 좋습니다.

연차수당 계산하는 방법도 알아두면 편하겠죠? 간단해보이지만 어떻게 계산하는지 몰라서 회사에서 주는대로 받는 분들이 아마 대부분일텐데요. 연차수당을 계산할 때 기본급, 상여급, 직책수당 같은 부분은 포함되지만 하지만 출장비나 성과급, 포상금 같은 실적에 따라 변경되는 임금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연차수당계산 일일 통상 임금 x 잔여 유급휴가 그래서 명세서를 보고 계산해보아도 쉽지 않은게 연차수당 계산법이랍니다. 를 이용하시면 좀 더 간편하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고정수당과 기본급을 잘 확인한 후 넣어주시면 조금 더 쉽게 연차수당 계산이 가능하답니다.

연차수당 계산법 연차수당 계산기
연차수당 계산법 연차수당 계산기

연차수당 계산법 연차수당 계산기

일반적인 연차수당 계산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이곳에서 통상임금에는 주기적으로 받는 급여 뿐 아니라 주기적으로 받는 상여금이나 고정 수당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통상임금을 일급으로 환산해 잔여 연차 일수에 곱하면 연차수당을 계산할 수 있어요. 위 연차수당 계산법으로 직접 계산하기가 힘들다면, 노동 OK라는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연차수당 계산기를 활용해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연차휴가 미이용일 수, 주당 근무시간, 급여액 등을 입력한 뒤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단순하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연차 유급휴가 사용 촉진

근로 법규에 따라 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을 기준으로 10일 이내에 사용자가 근로자별로 사용하지 아니한 휴가 일수를 알려주고 근로자가 그 사용 시기를 정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서면으로 촉구해야 합니다.

회사로부터 연사 사용 촉진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촉구를 받은 때부터 10일 이내에 사용하지 아니한 휴가의 모두 혹은 일부의 사용 시기를 정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지 아니하면 제 기간이 끝나기 2개월 전까지 사용자가 사용하지 아니한 휴가의 사용 시기를 정하여 근로자에게 서면으로 통보해야 합니다.

오늘은 근로자라면 꼭 알아야할 근로 법규에 따른 연차 발생기준과 개수,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도 그냥 주면 주는 대로 받고 쓰라면 쓰고 그랬었는데 아르바이트와 계약직도 연차가 발생해야하는 점 꼭 기억하시고 주위에 널리 알려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연차수당 지급기준

연차 미사용분에 대해 보상을 받을 수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연차 발생기준

근로기준법 제 60조 1항에서는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합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차수당 계산법 연차수당

일반적인 연차수당 계산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