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유급휴가와 연차수당 계산하기

연차유급휴가와 연차수당 계산하기

연차 유급휴일은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가 1년에 80 이상 출근한 경우 그다음 연도에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합니다. 또한, 1년 미만으로 근무한 근로자 및 1년간 80 미만 출근한 근로자도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월차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연차 유급휴일은 근로자가 유급으로 쉴 수 있는 제도로 정신적,육체적 휴양의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적 생활의 향상을 위함에 그 의의가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리적으로 연차 유급휴가를 근로자가 쉴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

보통 근로거래를 체결하게 되면 오늘 8시간씩 주 5일을 근무하면서 8시간X시급의 주휴수당을 받게 됩니다. 단, 한주간 근무시간이 40시간을 넘더라도 주휴수당은 8시간 분량만큼만 산정됩니다. 2023년 최저시급 9,620원2022년보다. 460원 인상된 금액 을 기준으로, 오늘 8시간씩 주 5일 근무했다고 가정하고 계산기를 돌리면 주휴수당 계산내역 확인이 가능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이 외에도 알바 주휴수당 지급 및 계산도 가능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알바 주휴수당과 주휴수당을 확인하시고 금액을 미리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임시공휴일 대체공휴일 차이
임시공휴일 대체공휴일 차이

임시공휴일 대체공휴일 차이

대체공휴일 뜻은 법정공휴일과 휴일이 겹치는 경우 공휴일이 줄어들지 않도록 추가로 부여한 휴일을 의미합니다. 임시공휴일 뜻은 대체공휴일과 차이가 있습니다. 대체공휴일 뜻을 사전적으로 보시면 지정된 공휴일이 다른 법정공휴일과 겹칠 때 그다음 날인 평일을 공휴일로 대신하는 날입니다. 대체공휴일법은 공휴일이 일요일이나 주 오일제5일제 근무 사업장의 토요일과 겹칠 경우 다음 날 월요일을 공휴일로 하는 법을 뜻합니다.

올해는 설날1월 22일 일요일과 부처님오신 날5월 27일 토요일이 공휴일이었기에 각각 다음 날 평일1월 24일 화요일이나 그다음 월요일5월 29일 월요일을 대체공휴일로 쉬었다.

무급휴일에 근로한 경우

무급휴일은 약정에 따라 휴일로 지정되거나 1주일 동안 개근하지 못해 무급으로 쉬는 경우입니다. 무급휴일에 일한 경우, 근로자는 해당 일에 대한 기본 임금 100와 가산임금 50를 추가하여 총 150의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무급이든 유급이든, 1일 기준 근로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초과 근로시간에 대한 휴일근로 및 연장근로수당도 산정하여 지급해야 합니다. 또한, 야간 근로시간대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야간근로수당도 추가로 지급되어야 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간단히는 주휴수당 계산 방법 1일 소정근무시간 x 시급 입니다. 1주간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경우로 주휴수당 지급 조건에 완수 할때 두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1. 40 시간 이상인 경우 오늘 평균 근무한 시간 5일 x 시급 2. 40시간 미만인 경우 1주일 동안 근무한 시간 5일 x 시급 3.파트타임 근로자 알바의 경우 주5일제로 환산된 오늘 평균 근로시간을 구해야 구체적인 계산이 리워집니다.

시간이 8,6,5 시간등등 일정하지 않은 경우 총 근로시간의 평균을 산정하여 계산해야 구체적인 수당 계산이 됩니다.

주휴수당 지급조건

일주일 동안 출근했다고 하여 주휴수당이 반드시 지급되는 것은 아닙니다.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만 주휴수당은 지급가능합니다. 1 근로자의 근로시간은 1주일 기준, 15시간 이상이어야 지급이 가능합니다. 2 근로계약서 상, 기재되어 있는 근로일에 정상출근, 즉 개근해야 합니다. 단, 연차휴일은 여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연차휴가를 사용한 경우에는 개근으로 인정됩니다. 외출지각조퇴 등은 주휴수당과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지각이나 조퇴를 했어도 출근했다면 주휴수당은 받을 수 있습니다.

연차 유급휴가 사용촉진 제도

연차휴가 사용촉진 절차

1월1일 발생 기준 1월1일 입사 기준 입사 1년 미만 근로자의 사용촉진시기가 달라, 통보 시기 확인이 필요함 고용노동부 노동포털 민원신청하기 연차 유급휴가제도는 근로자에게 정신적육체적 휴양과 문화적 생활의 할 수 있도록 근로제공의 의무를 면제하는 제도입니다.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연가휴가원을 꼭 수령하여 연차이용일 수를 관리하여야 하며, 근로자는 미 이용일 수에 대해 연차 미사용 수당으로 보상받을 수 있으므로 퇴사 처리 등의 사유가 발생하면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주휴수당 계산법

보통 근로거래를 체결하게 되면 오늘 8시간씩 주 5일을 근무하면서 8시간X시급의 주휴수당을 받게 됩니다.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임시공휴일 대체공휴일 차이

대체공휴일 뜻은 법정공휴일과 휴일이 겹치는 경우 공휴일이 줄어들지 않도록 추가로 부여한 휴일을 의미합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무급휴일에 근로한 경우

무급휴일은 약정에 따라 휴일로 지정되거나 1주일 동안 개근하지 못해 무급으로 쉬는 경우입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