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제사, 기제사, 묘사, 시제 지내는 순서와 방법
제사상 차리는 법 1. 신위 별로 준비할 것 밥메, 국갱, 숭늉숙수 등은 신위 수대로 준비합니다. 명절 차례에는 떡국이나 송편이 대신합니다. 밥은 그릇에 담아 밥뚜껑을 덮는다. 국은 쇠고기 무국을 흔히 쓰고 덮개를 덮는다. 숭늉은 냉수 혹은 더운 물에 밥알을 조금 푼다. 2. 신위 수와 무관한 것술제주, 식초초접, 간장청장, 떡편, 찌개탕, 부침개전, 구이적, 포어포, 육포 등, 식혜혜, 나물숙채, 김치침채, 과자 및 과일과실 등은 신위 수와 상관없이 준비합니다.
두 분을 함께 모신 경우, 밥메과 국갱 등이 2벌입니다. 술은 맑은 술을 준비합니다. 식초와 간장은 종지에 준비합니다. 떡은 시루떡을 보통 씁니다. 찌개탕은 어탕, 육탕, 계탕 등 홀수로 여러 가지를 올리기도 하고 재료를 3가지를 써서 함께 만들기도 합니다.
유식례로 첨작, 삽시 등 조상님의 식사를 수발한다
초헌(初獻) – 제주가 절을 한 번 한 뒤 첫 잔을 올립니다. 제주가 술을 올린 뒤 꿇어앉아 제주 왼편에서 축(祝, 축문 읽는 사람)이 축문을 읽는다. 전원이 무릎을 꿇고 축문을 듣고 있습니다. 축문을 다. 읽으면 제주가 두 번 절하고 제자리로 돌아간다. 만약 축문 읽을 사람이 없습니다.면 제주가 읽는다. 아헌(亞獻) – 두 번째 올리는 잔으로, 맏며느리(宗婦, 종부)가 올립니다. 종헌(終獻) – 세 번째 올리는 잔으로, 연세 많은 어른이 올립니다.
유식 첨작, 혹은 첨잔을 하여 술잔에 술이 가득 차도록 더해 올립니다. 주로 밥그릇 뚜껑에 소량의 술을 따라 조금씩 덜어 올립니다. 삽시, 혹은 삽수하여 숟가락을 메밥 위에 수직으로 꽂고 젓가락을 시접 위에 가지런히 올립니다. 혹은 조상이 생전에 좋아하셨던 반찬요리 위에 올려도 됩니다.
설 예절 4가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거나 한 번쯤은 의문을 품는 것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신위는 사진과 지방입니다. 사당이 없던 일반 가정에서는 지방을 모시고 제사를 거의 모든 지냈습니다. 그러나 사진을 두고 제사를 지내는 것도 괜찮다고 합니다. 과일을 놓는 방법에서 많이 듣던 홍동백서 조율이시. 예법을 다룬 문헌에서는 이런 용어는 없습니다.고 합니다. 고로 과일은 46가지 정도 편하게 놓으셔도 된다고 합니다. 결혼을 할 때 무시할 수 없습니다.는 제사, 차례 지내는 여부 그 중심에는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이 언제나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사실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은 차례상에 꼭 올리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제사를 시작한다
제사의 시작을 알리는 것은 제주의 첫 절입니다. 봉주 제사의 시작을 알리는 첫 순서입니다. 제주는 깨끗이 손을 씻고 한 번 절을 올립니다. 취위 제사를 지낼 사람들이 나란히 자리에 선다. 참신 혹은 강신 조상님의 신령을 초대하기 위해 제주가 향과 초를 피운다. 술을 잔에 따라 세 번에 나누어 모사 그릇에 붓는다. 제주의 의식이 끝나면 제주와 함께 모든 사람이 두 번 절을 합니다.
진찬 각종 반찬과 탕, 국, 메밥를 올립니다.
시제와 묘사의 차이점
시제와 묘사는 부르는 용어만 다를 뿐 순서와 과정이 동일한 제례입니다. 시제, 묘사를 지내는 시기는 음력 3월 혹은 10월이지만, 현대에 이르러서는 주로 음력 10월 중으로 한 차례만 진행됩니다. 주로 묘소, 봉분, 비석 앞에서 제를 올리게 되는데, 야외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현대에는 주자 가례의 제례법을 참고하되 간소화할 수 있는 과정은 최대한 간소화합니다. 향교, 서원 등 유교적 풍습을 갖추고 제를 올리는 곳에서는 이와 유사한 제례를 전통에 맞게 지켜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각 집안에서 행해지는 제례는 과하지 않게, 간소화 할 수 있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유식례로 첨작, 삽시 등 조상님의 식사를
초헌 제주가 절을 한 번 한 뒤 첫 잔을 올립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설 예절 4가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거나 한 번쯤은 의문을 품는 것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제사를 시작한다
제사의 시작을 알리는 것은 제주의 첫 절입니다.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