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

명절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을 맞이하여 차례상 옷차림 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차례상제사상 차리는 방법과 순서 그리고 음식의 배치와 방향 등을 기록하였습니다. 차례상 순서와 음식 배치와 방향 1열1열에는 시접 전반과 메라고 하는 밥이 올려집니다. 이때 떡국은 오른쪽에 술잔은 왼쪽에 놓습니다. 2열2열에는 전 음식을 놓습니다. 어동육서라고 해서 생선류는 동쪽, 고기류는 서쪽 방향에 둡니다. 3열세 번째 열에는 국, 탕류를 올립니다. 양 옆에 촛대와 함께 육탕, 소탕, 간장, 어탕 등을 올려놓습니다.

4열네 번째 칸에는 좌포우혜라고 해서 왼쪽에는 포 종류, 오른쪽은 식혜를 올립니다. 이때 삼색 나물이나 침채 혹은 생채도 상옷차림 할 수 있습니다. 5열5열에는 조율이시와 홍동백서를 따릅니다.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상은 산 사람의 상차림과 반대로 수저는 중앙에 놓고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놓습니다. 제사상에도 알아두면 좋을 사자성어 알려드리겠습니다. 남좌여우 남자 조상은 서쪽, 여자 조상은 동쪽 반서갱동 남자조상의 신위, 밥, 국, 술잔은 왼쪽, 여자조상은 오른쪽 합 설 밥, 국, 술잔은 따로 놓고 나머지 제수는 공통적으로 하며, 조상의 제사는 배우자가 있을 경우 함께 모심 어동육서 고기는 서쪽, 생선은 동쪽 생동숙서 날것은 동쪽, 익힌 것은 서쪽 조율이시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순서 좌포우혜 포는 서쪽, 젓갈은 동쪽 글을 읽으시다.

보시면 차례상과 제사상의 차리는 방식은 비슷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명절 차례상 차리는 법
명절 차례상 차리는 법

명절 차례상 차리는 법

명절 차례상 차리는 법은 크게 5열로 나누는데요. 그 외에도 공식처럼 알아두어야 할 사자 성어도 있습니다.

차례상은 위에서 언급했듯 지방이나 가정의 전통에 따라 순서나 위치 등이 다소 차이가 있으며, 무엇보다. 조상이 생전에 즐기던 음식을 정성스레 준비해야하는 마음가짐으로 차리면 됩니다. 또한 갈치, 삼치 등 치자가 들어간 생선과 고춧가루와 마늘양념을 하지 않고, 붉은팥은 안 쓰고 흰고 물로 씁니다.

옛날의 방위는 북쪽이 아래

흔히 북쪽은 위에 자리하고 남쪽은 아래에 자리하지만 옛날의 방위는 북쪽이 아래에 위치 한다고 합니다. 그에 따라 좌우 동서가 지금과 정반대라고 합니다. 북쪽을 아래로 한 것은 북쪽이 모든 것의 근원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우리 육체를 기준으로 하면 우리는 앞을 바라보고 남쪽을 향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에 따라 등은 북쪽이 되는 것입니다. 즉 한자로 은 원래 등을 가리키는 에서 나온 말이라고 합니다.

잔을 돌릴 때는 보통 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것이 봄에서 여름을 거쳐 가을과 겨울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아래가 북쪽이면 왼쪽이 동쪽이 되는 것입니다. 왼쪽은 계절로 치면 봄에 해당되고 시계 방향이라는 것은 북쪽에서 동쪽으로 남쪽에서 서쪽으로 술잔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는 것은 자연의 질서에 순행해야하는 의미가 되는 것입니다.

제사 때 술잔을 세바퀴 돌리는가?

제사 때 술잔을 왜 세바퀴를 돌리는지 그 이유를 잘 설명하는 분이 많이 없습니다. 그냥 조상들이나 옛 어르신이 이렇게 해왔으니까하는 생각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술잔을 돌릴 때도 예를 갖추어야 하는 것처럼 술잔은 향 위에서 돌리는 것이 예의라고 합니다. 술잔을 3번 돌리는 것은 거한이라 하여 온기가 있는 향로 위에서 잔을 돌려 술을 따뜻하게 데우고 술을 깔끔하게 만드는 의식이라 합니다.

술잔을 돌리는 것은 불가에서 부처님께 술을 올릴 때 쓰는 방법이라고 해서 집안에 따라 술잔을 돌리지 않고 그냥 잔을 올리는 경우도 있으므로 자기 조상의 제사에는 지역과 집안 형편에 따라 지내면 된다고 합니다. 술잔을 세 번 돌리는 이유는 원래 인도의 예법으로 불타 및 불타의 유적지를 예배, 공양하기 위하여 그 주위를 오른쪽으로 도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세 번을 돌므로 우요삼잡이라고 합니다.

차례상 간소화 방법

성균관에서 22년 추석을 앞두고 차례상 간소화 표준안을 내놓았다. 표준안에 의하면 송편, 나물, 구이 적, 김치, 과일, 술 등 5가지입니다. 여기에 더 올린다면 육류, 생선, 떡을 놓을 있습니다. 그리고 덧붙여 조상을 기리는 마음은 음식의 가짓수에 있지 않으니 많이 차리려고 애쓰지 않으셔도 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밖에 조상의 우치나 관계 등을 적은 지방 외에 조상의 사진을 두고 제사를 지내도 되며, 차례와 성묘의 선후는 가족이 의논해서 정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1년에 몇번 없는 대명절, 가족 화합의 연휴기간이 되어야 하는데 이런 차례상, 제사 때문에 다투는 건 보기가 안 좋을 것입니다. 차라리 차례상이나 이런 제사 절차를 간소화하고 다. 같이 모여서 옛 조상을 기리며 추억들을 얘기해보는 게 어떨까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상은 산 사람의 상차림과 반대로 수저는 중앙에 놓고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놓습니다.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명절 차례상 차리는 법

명절 차례상 차리는 법은 크게 5열로 나누는데요.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옛날의 방위는 북쪽이 아래

흔히 북쪽은 위에 자리하고 남쪽은 아래에 자리하지만 옛날의 방위는 북쪽이 아래에 위치 한다고 합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