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동구 방촌시장 방촌떡볶이

대구 동구 방촌시장 방촌떡볶이

놀면뭐하니? 전국 간식자랑 대구편을 보고 집근처 월배시장 다녀왔어요 아는 맛이 위험하다더니 어제 방송에선 드디어 김밥튀김과 콩나물어묵이 짜잔사실 김밥튀김은 다른지역에서 안 먹는지 몰랐던 이걸 왜 안먹지? 이런감정 집에서도 혹시 김밥 말았는데 너무 많아서 냉장고 넣어놨을때 차갑잖아요? 튀기진 못해도 달걀물만 묻혀서 김밥전해먹어도 꿀맛입니다. 아 침고인다.


복어불고기
복어불고기

복어불고기

1970년대 후반 복어요리라고는 기껏해야 탕 종류 정도밖에 없을 때, 매운 양념과 콩나물, 양파, 대파를 곁들여 빨갛 게 볶아 먹는 복어불고기가 대구의 한 식당에서 개발됐습니다. 지금은 대구에 있는 대부분의 복어요릿집에서 취급하는 메뉴이며, 갓 숨 죽은 아삭아삭한 콩나물과 부드러운 복어살이 입안에 섞이면서 새로운 맛을 연출합니다. 매운 양념이 쏙 배인 복어살과 채소를 곁들여 술을 한 잔 하고, 남은 양념에는 밥을 볶아 먹는데, 부드러우면서도 매운맛이 대구 사람들의 입맛에는 제격입니다.

쫄깃쫄깃하면서도 지방이 없고, 담백하면서도 달짝지근하며 감칠맛이 좋습니다.

따로국밥대구육개장
따로국밥대구육개장

따로국밥대구육개장

따로국밥대구육개장의 특징 중 하 나는 붉고 걸쭉한 고추기름으로, 국이 끓을 때 고춧가루가 아닌 녹인 쇠기름으로 만든 고추기름을 양념으로 넣는다. 사골과 사태를 밤새도록 고아 우려낸 육수에 대파와 무, 고춧가루와 다진 마늘을 듬뿍 넣어 얼큰하고 매 운 듯하면서 개운한 뒷맛이 일품입니다. 1929년 12월 종합 잡지 별건곤에서도 대구가 육개장의 고장이었음을 알려 주고 있으며,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에 서도 육개장을 대구의 명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따로국밥은 6 25 전쟁이 나고 전국 각지의 피란민이 대구로 모이면서 국밥 형태의 상차림을 꺼리는 사람들 이 밥 따로, 국 따로를 주문하면서 생겨났다.

동인동찜갈비

1970년대부터 중구 동인동 주택가에서 찌그러진 양은 냄비에 푹 익힌 소갈비를 담아, 매운 고춧가루와 다진 마 늘을 주 양념으로 조리하면서 시작된 동인동찜갈비는 간장으로만 맛을 내는 갈비찜과는 판이하게 다른 요리로 대구에서만 찾아볼 수있는 스타일입니다. 술안주로도 알맞으며, 끼니 후 남은 양념에 밥을 비벼 먹는 맛이 맵싸하고 파격적인 것이 특징입니다. 1970년대 초부터 유행한 막창은 소주와 가장 궁합이 잘 맞는 안주로서 소의 네 차례 위인 홍창을 연탄이나 숯불에 구 워 특히 제조된 된장소스와 마늘, 쪽파를 곁들여 먹는 것이 특징입니다.

저지방 고단백 음식으로서 칼슘 함량이 쇠고기보다. 월등히 높아 어린이 성장 발육에도 좋습니다. 옛 미도극장 근처 황금막창을 시작으로 서울막창, 삼일막창, 상동막창 시대를 거쳐 IMF 직후 두산동 애리조나 막창 등의 식당들이 생겨나며 막창 붐이 일었다.

누른 국수

전국에서 국수 소비량이 가장 많은 지역이 대구일 정도로 대구 사람들의 국수 사랑은 유별나다. 누른 국수는 경상도 칼국수의 별칭으로 사골, 해물 등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전국에서 오직 진하게 우려낸 멸치 국물을 육수로 쓰는 대구 지역의 대표 면 요리로, 밀가루와 적절한 양의 콩가루를 섞어 얇고 널찍하게 밀고 겹쳐서 가늘게 채 썬 다음 멸치 육수에 넣고 끓인다. 196070년대 분식장려 기간 동안 비약적인 성장을 했다.

대구는 내륙 지방이기 때문에 1980년대 과거에는 싱싱한 활어를 맛볼 수 없는 곳이었다. 활어회의 대체 식품으 로 삶은 오징어와 소라, 논고둥, 붕장어 등을 무채, 미나리와 함께 고춧가루와 마늘, 생강으로 즉석에서 버무려 낸 무침회는 40여 년 전부터 대구에서만 맛볼 수 있는 독특한 명물 음식입니다. 바다에서 나는 오징어, 소라와 논에서 나는 논고둥은 데치고, 붕장어는 생것으로 넣은 것이 특징입니다. 불로동 일대에서 붐을 이루다가 성서 지역이 공단으로 활성화되며 지금은 서구 내당동 반고개 무침회 골목에서 15개 업소가 성업 중입니다.

10. 야끼우동

야끼우동은 1970년대에 대구에서 처음 만들어진 얼큰하고 매운 대구식 볶음가락국수입니다. 고운 고춧가루와 마늘의 매운 양념을 기본으로 양파, 배추, 호박, 숙주나물, 목이버섯을 넣고 여름에는 부추, 겨울에는 시금치에 새우, 오 징어, 돼지고기를 넣는다. 센 불에 즉석으로 볶아내는 국물 없는 음식으로 40여 년 전, 이탈리아 파스타에 대적할 만한 대구판 매운 가락국수 볶음으로 탄생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복어불고기

1970년대 후반 복어요리라고는 기껏해야 탕 종류 정도밖에 없을 때, 매운 양념과 콩나물, 양파, 대파를 곁들여 빨갛 게 볶아 먹는 복어불고기가 대구의 한 식당에서 개발됐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따로국밥대구육개장

따로국밥대구육개장의 특징 중 하 나는 붉고 걸쭉한 고추기름으로, 국이 끓을 때 고춧가루가 아닌 녹인 쇠기름으로 만든 고추기름을 양념으로 넣는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

동인동찜갈비

1970년대부터 중구 동인동 주택가에서 찌그러진 양은 냄비에 푹 익힌 소갈비를 담아, 매운 고춧가루와 다진 마 늘을 주 양념으로 조리하면서 시작된 동인동찜갈비는 간장으로만 맛을 내는 갈비찜과는 판이하게 다른 요리로 대구에서만 찾아볼 수있는 스타일입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