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fssorkr)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fssorkr)

이번에는 전자공시시스템 시스템 DART 로 불리는 금감원 전자공시스템에 대하여 알아볼께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체계는 DART라고도 불리며, 금융연관 기업들이 제출하는 공시정보를 모아 투자자들이 보다.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체계는 대한민국 금융감독원이 운영하며,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 여러가지 금융상품의 발행 및 거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합니다. 또한, 이 시스템을 통해 기업들의 재무제표, 주요 경영지표, 이사회 구성원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를 통해 기업의 실적과 경영상황을 더 바르게 파악하여 투자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 해보기
테스트 해보기

테스트 해보기

첫째 발급받은 API Key를 이용해서 위 예제의 Quick Starts 코드를 실행해보았습니다. 기본 예제는 역시 한국의 대표기업인 삼성전자의 공시를 불러오는 것이었다. 실행해보시면 이렇게 나오며 2012년 1월 1일부터의 재무제표를 크롤링한다음 실행폴더fsdata 하위에 생성해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생각보다. 양이 방대한지 한참을 받아옵니다. 한참을 기다려 만드러진 데이터를 보니 엑셀파일 형태입니다. 하지만 파일 사이즈는 굉장히 작아서 놀랬다.

아마도 모듈 개발자의 설명에서처럼 분당 100회 이상의 API 요청이 있는 경우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천천히 받아서 그런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파일명은 종목코드가 아닌 기업코드로 되어 있습니다. 데이터를 열어보시면 다음과 같이 되어 있습니다.

OpenDART API Key 발급받기
OpenDART API Key 발급받기

OpenDART API Key 발급받기

dartfss 모듈의 설명페이지를 보니 import dartfss as dart Open DART API KEY 설정apikey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dart.setapikeyapikeyapikey DART 에 공시된 기업 리스트 불러오기corplist dart.getcorplist 삼성 검색samsung corplist.findbycorpname삼성전자, exactlyTrue0 2012년부터 매년 연결재무제표 불러오기fs samsung.extractfsbgnde20120101 재무제표 검

API Key가 필요하였고 키의 신청은 에서 신청이 가능하였습니다.

email을 이용하여 인증을 받고 계정을 생성한 다음 로그인하면 계정정보에 API Key가 발급되어 있음을 확인할 있습니다.

발행공시는 증권을 발행하거나 공급하여 투자자를 모집하기 위한 공시행위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특정 증권의 발행시 실제 유통되는 주식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어 그 양이나 시기 및 발행가격 등의 보편적인 정보는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지분공시는 기업의 임원이나 대주주 및 주요주주 등의 증권의 소유 및 변동 정보를 공시하는 행위로 자본 투입가에게 기업의 지배권을 알려주는 제도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주요사항보고

주요사항보고로 기업의 상태 등이 법령에 규정되는 상황인 경우 공시하게 됩니다. 자본시장법 제161조와 동법 시행령 제 171조에 의해서 주요사항보고 대상사유를 지정해서 있는데요, 명확한 내용은 법제처에서 확인이 가능하니 한번은 읽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부도나 은행거래 정지, 영업활동의 정지, 회생절차개시 혹은 신청, 해산, 자본 혹은 부채의 변동, 주식 교환.이전.합병, 영업 혹은 자산의 양수.양도, 자사주 획득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주식 투자하기 전, 이것은 반드시 체크해라

감사의견도 중요하지만, 투자에 있어 더 필요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강조사항입니다. 강조내용은 감사의견적정, 부적정, 의견거부 등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감사인이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기록하는 것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특히 눈여겨보아야 할 부분은 바로, 강조사항 중 계속기업 불학실성 부분입니다. 계속기업 불확실성이란, 쉽게 말해서, 회사가 망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에 따라 감사인도 위 항공회사에 대해, 계속기업으로서의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망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즉, 감사인은 투자자들에게, 위 항공회사에 투자하면 위험할 수 있다고 시그널을 보내고 있는 것이지요. 따라서 감사인이 ”강조사항”으로서, ”계속기업 불확실성”을 기재하였다면, 그 회사에 대한 투자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테스트 해보기

첫째 발급받은 API Key를 이용해서 위 예제의 Quick Starts 코드를 실행해보았습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

OpenDART API Key

dartfss 모듈의 설명페이지를 보니 import dartfss as dart Open DART API KEY 설정apikey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dart.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주요사항보고

주요사항보고로 기업의 상태 등이 법령에 규정되는 상황인 경우 공시하게 됩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