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의 | Elo 공식의 수학적 원리 (Elo 공식유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련링크
본문
Elo 공식의 수학적 원리
Elo 시스템은 설명한 건 많지만 핵심이 되는 Elo 공식
두 선수의 승률을 예상하는 공식이다. 그냥 저 공식을 사용할뿐
저 공식에 대해 잘 설명된 곳은 없는 것 같다.
Elo 공식은 하늘에서 뚝 떨어진 공식이 아니다.
간단하고 상식적인 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3자 비교법이란 논리다.
A 보다 B 가 잘하고 B 보단 C가 잘해!!
당연히 A 보단 C 가 잘할꺼야!
(A<B , B<C A<B<C 따라서 A<C)
흔히 사용하는 논리다. 이게 바로 3자 비교법이다.
이 논리를 약간 렙업해 보면
A,C 둘다 B 보다 잘하긴 하지만
A는 압도적으로 잘하고 C는 약간 잘해!!
(A>>>>B , C>B A>>C>B , 따라서 A>C)
숫자를 이용해 정교하게 다듬어 보면
A,B 두 선수의 전적이 5:3 이고 (A:B = 5:3)
B,C 선수의 전적이 3:4 라면 (B:C = 3:4)
마침 B선수의 전적이 3으로 같으니
A:B:C = 5:3:4 , 따라서 A:C = 5:4
물론 실제로는 숫자가 잘 맞아 떨어지지 않는다.
A:B = 7:4
B:C = 3:8
이럴땐 비례식의 특징을 이용해 B를 1로 만들면 된다.
A:B = (7/4):1
B:C = 1:(8/3)
A:B:C = (7/4):1:(8/3)
따라서 A:C = (7/4):(8/3)
보통 1:2 를 1/2 = 0.5 로 표현하는 것 처럼
A:C = (7/4):(8/3)
A/C= (7/4) / (8/3) = 21/32 = 0.65625
A가 B에게 평균 3승 2패 , B가 C에게 5승 6패 라고 한다면
A와 C가 경기한다면 몇승 몇패 하겠는가?
(한국어 위키,엘로 평점 시스템 항목에 나온 예제다.)
A:B = 3:2 = (3/2):1
B:C = 5:6 = 1:(6/5)
A:B:C= (3/2):1:(6/5)
A:C = (3/2):(6/5)= 15:12 = 5:4
A와 C가 경기한다면 5승 4패가 예상된다.
위키의 나온 부분이 바로 이 설명이다.
바로 이 논리가 바로 Elo의 공식의 핵심이다.
값의 의미
뭔가 숫자가 나오긴 했는데 이 숫자가 뜻하는 것은 뭘까?
A:B = 3:2
A/B = 1.5
A가 B 에게 1.5배 승리를 많이 거둔다는 뜻이다.
개인적으로는 이 값을 실력지수라고 부르고 있다.
A가 B 보다 몇배 잘했다. 이렇게 읽으면 쉽다.
A/B = 1 이면 1배 잘했다. 즉 실력이 똑같다는 뜻이다.
A/B = 3 이면 3배 잘했다.
하지만 1보다 작다면? 앞에 나온 A/C = 0.65625 는?
A가 C 보다 못했다는 뜻이다.
%와의 관계
실제로는 %를 많이 사용한다.
A:B = 3:2
A가 이길 확률은 ?
A/(A+B) = 3/5 = 60%
기호로는 ( X(AB) ) 쓴다.
X(AB)= A/(A+B) = 3/5 = 60%
물론 자료는 친절하지 않다.
A/B = 1.5
3:2라는 값이 주어지는게 아니다.
분모 분자의 특성을 생각해 보면
1.5 = 1.5 / 1 이다.
따라서 A= 1.5 , B = 1
X(AB)= A/(A+B) = 1.5 / 2.5 = 60%
앞에 소개한
A/B = 1 (같은 실력)
A/B = 1/1
X(AB) = A/(A+B) = 1/2 = 50%
A/B = 3 (A가 3배 잘함)
X(AB) = A/(A+B) = 3/4 = 75%
A/C = 0.65625 (C가 더 잘함)
X(AC) = 0.65625 / 1.65625 = 39.62%
당연히 A가 이길 확률은 50% 보다 작은 값이 나온다.
공식화 해 보면
A의 실력지수를 S라고 하면 A가 B를 이길 확률은?
A/B = S
A/B = S/1
X(AB) = A/(A+B) = S/(S+1)
간단히 하면 실력지수 S 일때 확률 X는
X = S/(S+1)
실력지수->% 변환을 먼저 소개했지만
실은 반대 상황이 많다. 자료는 % 일때가 많다.
그런데 3자 비교법을 쓰려면 % 자료를 실력지수로 고처야 한다.
실력지수 -> % 공식을 다시 살펴 보자
X = S/(S+1)
S로 정리하면
S=X/(1-X)
X 값이 80% 라면 실력값은?
S = 0.8/(1-0.8) = 0.8/0.2 = 4
40%라면?
S= 0.4/0.6 = 0.6667 이다.
확률론에서 (1-X) 는 여확률이고 패배 확률을 뜻한다.
보통 X' 라고 쓴다.
따라서 % 자료가 주어질때 실력지수는
S = X/X' = 승리확률/ 패배확률
임의의 선수와 대결했을때 A 선수의 승률은 90% 고 B 선수의 승률은 80% 라면
두 선수가 경기했을때 A 선수의 승률은 얼마일까?
A 선수의 실력 지수는 90%/10% = 9
B 선수의 실력 지수는 80%/20% = 4
맨처음 소개한 3자 비교법에서 두 선수를 연결해 주는 것을 B가 했다.
여기서는 임의의 선수라는 개념이 대신한다.
그걸로 3자 비교법을 쓰는 것이다.
A:임의의 선수 = 9:1
B:임의의 선수 = 4:1
A:임의의 선수:B = 9:1:4
A:B = 9/4
A/B = 2.25
X(AB) = 2.25/3.25 = 69.23 %
A 선수가 B 선수를 이길 확률은 69.23% 다.
3자 비교법이라는 걸 설명하기 위해 중간 과정을 보여주었지만
실제로는 실력지수 끼리 나누기만 하면 된다.
9/4 하면 A선수 입장에서 실력값이 나오고
반대로 4/9 하면 B 선수 입장에서 실력값이 나온다.
두 선수간의 실력값은 나누기가 성립하고 공식으로 쓴다면
S(AB)=S(A)/S(B)
A선수가 B 선수 보다 몇배 잘하는가?
마찬가지로
S(BA)=S(B)/S(A)
여러 공식이 나오긴 했지만
지금 쓰고 있는 공식이나 계산은
A 보다 B 가 잘하고 B 보단 C가 잘해!!
당연히 A 보단 C 가 잘할꺼야!
하지만 Elo 공식은 꽤 복잡하다.
로그값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실력차이가 10배 날때 400점 차이 나게 만든다.
이 개념이 들어있는데 수학적으로는 로그로 표현한다.
수학적 테크닉이 필요하다.
로그 변환은 익숙하지 않은데 % 변환과 같은 것이다.
0.4 라는 숫자에 100을 곱해 40%로 고치는 건 익숙하다.
이런 변환이다 숫자의 본질이 변하는 것은 아니다.
'차이가 10배 일때 400점 차이나게 만든다. '
이 변환은 대부분 익숙하지 못할 것이다.
수학적으로는 이런 것이다.
실력 지수값에 log를 해준 다음 , 400을 곱해준다.
실력지수 S -> 400*log S
실력차이가 10배일때 점수를
500 차이 나게 해주고 싶으면 500을 곱해주면 되고
1000 차이 나게 하고 싶으면 1000을 곱해주면 된다.
왜 400 으로 설정했는지 모르겠지만
이미 전 세계적으로 400으로 통일되어 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임의로 잡아 놓은 값이 있다. 기준점수다.
축구나 체스에서는 1500점 , 어떤 영역에서는 1000점
이런 식으로 기준 점수를 준다.
실력값이 1일때 주는 값이라고 보면 된다.
Elo 점수는 기준점수를 1000 점으로 할때
그 선수에 비해 몇배 잘하냐(실력지수)
Elo 점수 = 1000 + 400 log S
보통 레이팅 점수라고 하니 A 선수의 Elo 점수를 R(A)
기준점수 대비 실력지수를 S(A) 라고 하면
R(A) = 1000 + 400 log S(A)
B선수를 기준으로 쓰면
R(B) = 1000 + 400 log S(B)
두 식을 빼주면
R(A) - R(B) = 400 log S(A)/S(B)
실력지수 끼리는 나누기가 성립한다.
S(AB)=S(A)/S(B) A선수가 B 선수 보다 몇배 잘하는가?
R(A) - R(B) = 400 log S(AB)
사실 여기서 의미를 가지는 건 S값 하나다.
S(AB) = 10^([R(A) - R(B)]/400)
실력값과 % 변환 공식은
X = S/(S+1)
S 자리에 S(AB) 값을 넣어주면 A,B 두 선수가 경기할때
A 선수의 승리 확률이 나온다.
위 공식에 S(AB) = 10^([R(A) - R(B)]/400) 를 집어 넣어
(분모 분자를 S로 나눠 S를 줄이는 계산 테크닉이 필요하다.)
S값을 없애주고 레이팅 값만 남긴 것이 바로 Elo 공식이다.
Elo 공식은 이렇게 유도할 수 있다.
공식의 모양이 복잡하긴 하지만
Elo 공식은 맨 처음 소개한 3자 비교이라는
매우 간단한 원리에서 유도되는 공식이다.
끝까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스카이저그님의 댓글

Elo 시스템은 많이 설명하는데 공식은 잘 설명된거 같지 않아서
Elo 가 무엇인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께 이 글도 함께 링크로 걸어 주시면 좋을 거 같네요.
관리자님의 댓글

와.... 감사합니다. 스압ㄷㄷ 이거도 링크 추가해야되겠네요
ㅇㅇ님의 댓글
ㅇㅇ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와고의 그 스카이저그냐? 물론 글은 안 읽었다만 상당히 쓸만한 녀석이었네
굿님의 댓글
굿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항상 ELO든 MMR이든 어떤 원리인지 궁금했는데 elo시스템을 알고나니 mmr은 자연스럽게 이해가되네요. 좋은설명감사합니다.
수줍은질럿님의 댓글
수줍은질럿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재밌네요 잘 읽고 갑니다